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후·물가 이중고 "내년 4인가족 연간 식비 800달러 더 들어"

 캐나다의 식품 물가가 내년에 최대 5%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변화와 미국 대선이라는 이중 변수로 추가 상승 가능성도 제기됐다.       달하우지 대학교 등 4개 대학 공동 연구팀이 발표한 제15차 연례 식품가격 보고서에 따르면, 4인 가족 기준 연간 식비는 1만6천834달러로 작년보다 최대 802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3개의 AI 모델을 활용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코로나19 시기의 두 자릿수 상승률에 비하면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특히 육류 가격이 4~6%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서부 지역의 극심한 가뭄으로 소 사육두수가 감소한 영향이다.       캐나다 달러 약세로 수입 채소류 가격도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는 농작물 재배와 가축 사육에 계속해서 어려움을 주고 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의 재집권 가능성이라는 새로운 변수가 더해졌다.       트럼프가 추진하는 미국 수입품 관세 부과에 캐나다가 보복 관세로 대응할 경우, 또는 트럼프가 공약한 미국 농민 지원책이 현실화될 경우 식품 가격에 추가 압박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밴쿠버 중앙일보이중고 내년 물가 이중고 4인가족 연간 식품 물가

2024-12-05

5년 전 100불어치 장보기 이젠 137불 줘야…50% 이상 오른 식품 적잖아

그로서리 스토어에서 식료품 몇 개만 집어도 100달러는 훌쩍 넘는다. 팬데믹 이전의 100달러 가치는 현재의 두배 정도 된다고 말하는 소비자가 많은데 그들의 느낌이 거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2019년 일반 수퍼마켓에서 100.30달러로 살 수 있었던 상품을 올해 똑같이 구매하려면 36.59달러를 더 내야 했다.     2019년 100달러로 식료품에서 구입 가능한 식료품은 계란 12개(2.36달러), 오트밀크(3.96달러), 우유(2.73달러), 딸기잼(2.97달러), 버터(3.78달러) 포함 총 32가지다. 2024년에는 100달러대로 살 수 있는 상품 수가 22개로 30%가량 줄었다. 즉, 5년 전에 100달러로 구입할 수 있었던 32개의 상품을 동일하게 사려면 137달러가 필요한 것이다. 이는 수백 가지 식료품의 가격이 2019년 이후 50% 이상 상승했기 때문이다.     매체에 따르면, 식료품 가격이 50% 이상 오른 제품들은 스포츠음료(80%), 계란(63%), 탄산음료(58%), 설탕(52%)이 있다. 이외에도 주방 세제, 초콜릿, 밀가루, 냉동 과일, 과자 등은 40% 이상. 휴지, 딸기잼, 냉동 피자, 햄(런치미트), 세탁세제 등은 30%이상 비싸진 것으로 집계됐다. 〈표 참조〉   연방 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2월 식료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0% 상승했다. 2023년 2월의 경우엔, 2022년 2월보다 10.2%나 뛰었다. 2019년 2월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 폭은 1.2%였던 것과 비교하면 상승 곡선이 다소 완만해졌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지출 부담은 여전히 크다는 게 저널의 지적이다.     코로나19 팬데믹 때 식품 업체들은 공급망 혼란에 따른 재료와 운송 비용 증가와 노동비 급증을 이유로 들며 식품 가격을 올렸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업이 고물가 분위기를 틈타 가격을 과도하게 올려 물가상승을 더욱 부채질했다는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탐욕 인플레이션)의 지적도 제기됐다. 일부 업체는 상품값을 못 올리니 양을 줄이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비용 상승을 핑계로 기업들이 다 같이 과도하게 가격을 올리고 원자재 가격이 내려도 그대로 버티고 있다”면서 “일부 식품 기업들은 상품 가격 인상 대신 양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shrink+inflation)’이라는 꼼수를 부리면서 전체적인 식품 물가가 내려가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행정부도 “공급망이 정상으로 회복됐지만 일부 기업들은 비용을 아끼면서 조용히 이윤을 쌓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 연방 의회는 연방거래위원회(FTC)와 각 주 검찰총장이 기업들의 슈링크플레이션을 단속 및 처벌할 수 있도록 ‘슈링크 방지법안’도 발의한 바 있다. 정하은 기자 [email protected]장보기 불어 식품 업체들 식품 물가 일부 식품

2024-04-09

[본지, 30개 주요 식품 조사] 한인마켓 물가는 15% 내렸다

식비 지출 비용이 30여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한인식품 물가는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본지가 한인마켓 광고를 토대로 조사한 이번 주말 한인마켓 주요 식품 물가는 전년 대비 15% 내려갔다. 〈표 참조〉   본지는 실제 식품 물가 상승률을 알아보기 위해 한인들이 선호하는 쌀, 계란, 두부, 파, 삼겹살, LA갈비, 소주, 라면, 과자, 사과, 즉석밥, 인스턴트 커피 등 30개 식품을 선정했다. 이중 주요 식품 10개를 선택해 2013년, 2023년, 그리고 현재 식품 가격을 조사했다. 2013년 32.92달러에 살 수 있었던 10개 품목을 10년 뒤인 2023년에 사려면 71.61달러가 필요했다. 10년 새 식비가 118%나 급증한 것이다. 반면 3월 1일 기준 10개 품목 총비용은 60.74달러로 전년 대비 71.61달러보다 15% 하락했다.     전반적인 식품 가격이 오르고 있지만 한인들의 장바구니 물가가 내려가는 것은 한인마켓 업계가 공격적으로 세일을 진행한 영향이다.     갤러리아마켓 올림픽점 황종필 매니저는 “소비자들의 장보는 패턴을 지속해서 분석하면서 잘 팔리는 제품의 가격을 내려 박리다매하는 방향으로 가격 정책을 바꿨다”며 “할인 품목을 2배 늘리고 대상 식품도 다양화했다”고 말했다. 또 “한인식탁에 매일 오르는 필수 식재료 가격을 인플레이션 이전으로 맞추고 신제품 할인도 강화했다”고 덧붙였다.     업계가 가장 공격적으로 가격을 내린 대표적인 품목은 쌀이다.     2022년 가을 21.99달러까지 치솟았던 CJ 천하일미.시라기쿠(20파운드) 가격은 10.99달러에 판매하며 50%나 하락했다. 팬데믹 이전의 할인가 8.99달러와 비교하면 여전히 22% 정도 비싸다. CJ 반반미(20파운드)도 2년 전 25달러에서 12.99달러로 거의 50% 가까이 떨어졌다. 15.99달러인 즉석밥 박스도 내린 가격이 9.99~10.99달러를 유지하고 있다.     멀티팩, 컵라면, 사발면 등 라면의 세일가도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다. 신라면, 짜파게티, 안성탕면, 삼양라면, 진라면 등 멀티팩 라면 한 봉지 3.99달러, 오뚜기 진라면 박스(12개) 11.99달러, 오뚜기 진라면(6개) 4.99달러에 살 수 있다.     눈에 띄는 것은 박스 과일 가격 인하다. 지난 연말 시즌 블루제이 만다린 박스는 34달러까지 치솟았지만 22.99~24.99달러로 내려갔고 선물용 후지사과 박스도 19.99달러에서 12.99~13.99달러, 배 박스 26.99~28.99달러에서 24.99달러로 대폭 내렸다.     한 모에 2달러를 훌쩍 넘던 두부 가격은 1.5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LA한인마켓들은 풀무원 두부를 1.49달러에 판매 중이다.     자주 구입하는 각종 밀키트 제품도 팬데믹 이전 가격으로 돌아갔다. 우동 밀키트 1봉지는 지난 2년 동안 5.99~6.99달러를 유지했지만 이번 주말 대부분 마켓에서 3.99달러에 판매 중이다. 골뱅이 캔도 7.99~8.99달러에서 5.99달러에 세일하고 있다.     특히, 장류 및 소스류는 각 마켓에서 주말에 진행하는 브랜드 모음전을 활용하면 최대 30% 할인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다.     LA한남체인에서는 이번 주말 CJ 및 청정원 특별전을 진행 중이다. 부침가루 2.99달러, 튀김가루 1.99달러, 소갈비 양념 3.99달러, 돈가스 소스 2.99달러 쌈장 4.99달러 등 20~30% 할인된 가격에 판매 중이다.   이은영 기자 [email protected]본지 30개 주요 식품 조사 한인마켓 물가 한인마켓 업계 한인마켓 광고 식품 물가

2024-02-29

10년새 한인마켓 식료품값 2배 뛰었다…2013 vs 2023년 물가 비교

한인들이 한인마켓에서 장을 볼 때 10년 전보다 2배를 지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2013년 3월과 2023년 3월 동일 기간 본지에 게재된 한인마켓 광고 가격을 토대로 30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동일 품목을 구입하는데 10년 전보다 돈을 두 배나 더 써야 했다.     실제 식품 물가 상승률을 알아보기 위해 한인들이 선호하는 쌀, 계란, 두부, 파, 삼겹살, LA갈비, 소주, 라면, 과자, 사과, 즉석밥, 인스턴트 커피 등 30개 식품을 선정했다. 이중 동일 제품 17개의 10년 전과 현재의 가격을 비교했다. 2013년에 85.24달러에 살 수 있던 17개 식품을 현재 구입하려면 165.54달러가 필요했다. 10년 새 식비가 94.2%나 급증한 것이다.     가장 큰 폭으로 오른 식품은 봉지 감자(10파운드)로 303%나 폭등했다. 2013년 0.99달러였지만 이달 기준 3.99달러로 4배나 오르며 대표적인 서민 채소도 사기가 버거워졌다. 〈표 참조〉     그 뒤를 이어 봉지 과자(대형포장, 251%), 무(1박스, 186%), 흑돼지 삼겹살(167%), 계란(한 판, 141%) 등이었다. 또 큐티스 만다린(3파운드, 140.5%), 인스턴트 커피(100개, 127%), 쌀(20파운드, 125%), LA갈비(117%), 소주(100.5%), 라면(멀티팩, 100.3%) 순으로 가격 상승 폭이 컸다.     두 배 이상 오른 대부분 품목은 한인들의 장바구니 필수 식품이어서 실제 한인들이 피부로 느끼는 밥상물가 폭등이 수치로 나타난 셈이다.     품목별로 보면 한인들이 선호하는 삼겹살과 LA갈비 등 정육 가격은 10년 사이 2~3배가 올랐다. 그나마 양념 불고기는 33% 상승하는 데 그쳤다.     마켓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 정육 가격이 팬데믹 이후 구인난, 물류비 상승, 공급 부족으로 급등했다”며 “특히 소주 한 잔에 한 점 먹던 서민 음식인 삼겹살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한인들의 주식재료인 쌀 가격은 20파운드 기준 2013년 7.99달러에서 이번 달 17.99달러로 10년 전보다 125%나 올랐다. 팬데믹 이전 8.99달러에 판매되고 마켓에서 일정 금액 이상 사면 덤으로 받을 수 있던 쌀은 인플레이션에다 가주 생산량 급감으로 지난해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다 공급망 교란으로 인해서 계란값은 올해 1월 20개들이 계란 한 판 가격이 19달러로 치솟았다. 서서히 가격이 하락하다 이달 세일 가격이 6.99달러까지 내려갔지만 10년 전 가격(2.90달러)과 비교하면 여전히 141%를 웃도는 것이다.     주류마켓 보다 저렴한 야채와 과일값은 10년 사이 다른 품목에 비해 상승 폭이 크지 않았다. 한인들이 즐겨 먹는 후지사과는 10년 전 파운드당 0.88달러였지만 이달 할인 행사 때 0.99달러에 판매하며 12.5% 올랐다. 한국산 신고배(1박스)는 19.99달러에서 27.99달러로 40% 올랐다.     파와 시금치는 가주 날씨와 공급량에 따라 가격이 자주 오르내리지만 10년 전과 비교해 큰 변동이 없었다. 10년 전 5단에 0.99달러였던 파는 이달에도 세일 때 같은 가격으로 살 수 있다.     10년 동안 오르지 않은 품목도 있다. 현대 보령 재래김 한 박스는 10년 전과 같은 9.99달러다. CJ 햇반 즉석밥도 세일 때 10년 전과 동일한 9.99달러에 판매 중이다.     라면 가격은 멀티팩 기준 대부분 100% 이상 올랐고 농심 육개장 사발면(1박스)은 7.99달러에서 15달러로 88% 인상됐다. 마켓 업계 관계자는 “라면 멀티팩 경우 가격도 2배 이상 오른 데다 5개 들이 한 팩에서 4개 들이 한팩으로 줄면서 실제 인상 폭은 더 크다”고 지적했다.     흥미로운 점은 막걸리 가격이 10년 전 가격으로 동일했다는 것이다.     국순당 생막걸리와 순희 막걸리는 각각 개당 2.49달러와 1.99달러로 10년 전 가격과 같았다. 소주는 1병당 1.99달러에서 3.99달러로 2배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수입 식품은 한국에서 줄인상 되면 미주지역 판매 가격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또 팬데믹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등으로 원부자재 가격, 인건비, 물류비 등이 대폭 오르면서 가격 인상 압박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이은영 기자한인마켓 식료품값 한인마켓 광고 식품 물가 밥상물가 폭등

2023-03-30

인플레·전쟁에 고삐 풀린 지구촌 물가

강한 인플레이션이 지구촌을 짓누르고 있다. 특히 먹거리 물가 급등은 누구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에게 ‘가혹한 세금’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세계 경제가 물가는 더 뛰고 경기는 급격히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경우 이들의 신음은 더 커지게 된다.   남아시아의 빈국 방글라데시에서 올해 1월 식품 물가가 도시 4.85%, 지방 5.94% 올랐다. 하지만 소외 계층이 체감하는 식품 물가 상승률을 추산한 결과 도시는 11.36%, 지방 11.21%로 나타났다. 빈곤층이 느끼는 식품 물가 상승률이 통계청 공식 발표치의 2배에 달한 것이다. 셀림 라이한 SANEM이사는 지난 1일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으며 “인플레이션은 소외된 사람들에게 가장 가혹한 세금이다. 빈곤층은 필수 식품 의존도가 높아 이를 줄일 수 없고 이들 품목의 가격 급등에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고 말했다.   팬데믹으로 인한 국제 공급망 차질로 각국의 원자재 수입 가격이 뛰면서 식료품이나 기름 지출 비중이 부유층보다 높은 편인 서민들의 물가 시름이 더 깊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의 1월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1년 만에 최고치인 7.2%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은 실질 소득 감소와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가계의 빈곤화를 부추길 수 있다.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48.7%)이 50%에 육박할 정도로 만성적인 고물가에 신음하는 터키에서는 팬데믹까지 겹쳐 빈곤 문제가 악화하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터키에서 2020년 빈곤선(하루 5.5달러) 이하의 생활을 하는 사람이 160만명 늘어났다. 이에 따라 빈곤율이 2019년 10.2%에서 2020년 12.2%로 높아졌다. 터키에서 소비자물가가 1% 상승하면 가난한 사람은 2%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다.    “전쟁은 경제적 재앙…빈곤층 가장 큰 타격”   이미 각국에 인플레이션 비상이 걸린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세계 경제에 큰 악재가 되고 있다.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는 지난 5일 BBC 방송에 “우크라이나 전쟁이 이미 세계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안 좋은 시기에 일어났다”며 세계 경제에 재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 가난한 나라와 빈곤층에 가장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했다.   세계가 3차 오일 쇼크를 걱정할 정도로 국제 유가가 7일 배럴당 120달러를 찍는 등 폭등세를 보이면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까지 확산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발 원유와 곡물 등 원자재 가격 급등이 세계적으로 특히 식품과 연료 지출 비중이 큰 빈곤층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식량 위기 걱정도 커지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하는 세계식량가격지수가 2월 140.7(2014~2016년 평균 100 기준)로 1년 전보다 24.1% 뛰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는 물론 ‘유럽의 빵 바구니’로 불리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 차질은 곡물 가격을 더욱 자극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세계 밀 수출의 29%를 차지한다.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식량 가격 상승과 관련, “더 많은 사람이 굶주린 채 잠자리에 들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산 밀의 수입 의존도가 높은 에티오피아, 예멘, 레바논, 이집트, 팔레스타인 등의 타격이 예상된다.인플레 지구촌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 소비자물가 식품 물가

2022-03-09

캐나다인 62%, 물가가 무서워 먹는 것도 줄였다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나라들이 양적 완화를 통해 버텨왔는데, 그 여파로 모든 나라들의 물가가 폭등하고 캐나다도 1991년 이후 사상최대의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면서 서민들이 먹는 습관도 바꾸는 등 가계 소비 긴축에 나섰다.   .비영리설문조사기관인 앵거스 리드가 22일 발표한 최신 설문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소비자들의 62%가 폭등한 식품 물가로 인해 덜 먹기 시작했다고 대답했다.   복수응답 결과에서 46%가 더 싸고 낮은 품질의 브랜드로 교체했다고 대답했고, 35%가 육류 소비를 줄였고, 25%가 술 소비를 줄였으며, 21%가 과일과 채소 소비를 줄였다고 대답했다. 심지어 4%는 식료품을 얻기 위해 푸드 뱅크에 간다고 대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25%가 식구들을 먹여 살리는 일이 힘들어졌다고 대답했다. 가계 수입이 2만 5000달러 이한인 가정은 64%에 달했으며, 25~49만 달러 이하 가계도 51%나 됐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48%가 힘들다고 대답해, 퀘벡주의 64%, 알버타주의 50%에 이어 3번째로 크게 식품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번 조사는 1월 7일부터 12일까지 5002명의 캐나다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표준오차는 +/- 2.0% 포인트이다.   표영태 기자캐나다인 물가 물가 상승률 식품 물가 캐나다 소비자들

2022-02-22

조류독감 기승…물가 또 들썩

세계 곳곳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이 지속해 식품 물가가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 등이 11일 보도했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지난달 발표에 따르면 지난 5월부터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 41개국에서 AI가 발생했다. OIE는 특히 올해 야생 조류와 농가에 다양한 아류형이 확산하면서 “전례 없는 유전적 변이를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럽에서 가금류 주요 생산국인 폴란드는 지난달 초부터 100만 마리 이상의 조류를 살처분했다. 영국에선 조지 유스티스 환경장관이 올해 감염 사례 36건이 확인돼 자국 역대 최대 규모라고 9일 밝히면서 비상이 걸렸다.   덴마크, 독일, 프랑스 등 다른 유럽국뿐만 아니라 아시아에서도 한국, 중국, 일본 등이 타격을 받았다.   블룸버그는 조류 인플루엔자의 지속적 확산은 닭고기 등 식량 가격을 추가로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각국 가계는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유동성 확대, 물류 차질 때문에 이미 물가상승에 시달리고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올해 육류가격지수는 16 상승해 2014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FAO 발표에 따르면 지금까지는 가금류 생산량이 대체로 전 세계 수요량을 따라가고 있다. 그러나 물류대란과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때문에 이 같은 상황이 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네덜란드 라보은행의 애널리스트 낸-더크 멀더는 유럽에서 코로나19에 따른 노동력 부족, 사료와 에너지 비용 상승 때문에 가금류 생산이 차질을 빚는 가운데 확산세가 둔화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목했다.   멀더는 “식품가격 인플레이션에 충격을 줄 추가 요인”이라며 “유럽과 전 세계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때문에 큰 압박을 받는 한 해”라고 설명했다.조류독감 기승 조류 인플루엔자 식품 물가 물류대란과 조류

2021-12-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